학원 소식

광진 ECC의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 교육멘토-저학년 우등생

    2008.11.19
  •  

    저학년 땐 지능 나빠도 우등생인 경우 있어

    전문가의 권유대로 교육을 시켰지만 성적이 처진다 싶을땐 공부 못하는 원인부터 파악해야 한다. 성적이 나쁜 가장 흔한 이유는 지능저하이다. 통상 IQ가 70~90 정도인 경우 초등학교 저학년 때는 별문제 없이 넘어가지만 학년이 올라갈수록 성적이 점점 떨어진다. 공부할 양도 많아지고 내용도 복잡해지다 보니 열심히 해도 4~5학년 부터는 상위권 성적을 유지하기 힘들다. 이런 아이에게 무작정 공부만 시키다간 성적 향상 효과는 미미한 반면 정서불안으로 짜증 많고 우울한 아이로 변할 가능성은 커진다. 10세인 A군의 경우가 대표적인 예다. 초등학교 1,2학년땐 하루종일 아이의 성적과 씨름하는 어머니 덕분에 우등생에 속했다. 하지만 3학년부터 시험에서 틀리는 개수가 많아지기 시작했다. 물론 어머니의 닦달은 점점 더 심해졌고 쾌활했던 A군은 말수가 줄고 매사에 짜증이 많은 아이로 변했다. 마침내 어머니는 아이와 함께 ‘학습장애 클리닉’을 방문했다. 몇가지 전문 검사후 담당의사는 “A군의 문제점은 성적저하가 아니라 어머니의 과욕임을 지적했다. IQ가 85로 나온 것이다. 그 의사는 또 ”앞으로 어머니의 생각과 태도를 바꾸지 않는 한 A군은 신경증, 반항장애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후 어머니가 성적에 대한 집착을 버리면서 A군은 다시 해맑고 또래와 잘 어울리는 4학년생으로 돌아왔다.


    읽기․;쓰기 장애도 ‘지진아’로 오인 가능

    집중을 못하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환자는 지능이 좋아도 공부를 못하기 마련이다. 다행히 이 병은 원인이 되는 뇌의 이상을 교정해 주는 약물이 개발돼 있다. 약물을 복용하면 충동적이고 산만한 태도가 좋아지고, 성적도 본인의 능력만큼 향상된다. 단, 증상이 좋아져도 약물치료는 최소한 1년 이상 장기간 지속해야 한다. 병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치료가 지연될 경우 아이는 학교와 집에서 “공부는 안 하고 부산하다”며 혼나는 일이 반복되면서 어른과 사회에 대한 적개심만 키우게 된다.

    가정불화, 친구 관계 악화 등의 이유로 우울․;불안․;초조 등 정서 문제가 생긴 아이도 성적이 능력보다 떨어진다. 이런 아이는 3개월 정도 약물치료와 상당으로 정서 문제를 해결해 주면 성적도 덩달아 향상된다.

    드물지만 읽기나 쓰기 장애, 산수 장애등 특수학습장애 환자도 성적이 나빠 지진아로 오해받기 쉽다. 특정 뇌부위 이상으로 글자․;부호(더하기․;빼기 등)․;숫자 인식이 제대로 안 되는 게 문제다. 따라서 �;�;�;�;�;�ɑ~4세 이후 에도 말 표현이 어눌할 때 �;�;�;�;�;�;위아래, 좌우 등 시공간 인식이 힘들 때 �;�;�;�;�;�;글자나 숫자를 거꾸로 쓰고 읽거나 원․;네모․;세모 등을 제대로 못그릴 때는 정밀 검사를 받아야 한다. 장기간의 특수교육이 해결책이다.


    황세희 :중앙 SUNDAY 의학전문 기자, 의사

    도움말 주신분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 정신과 정유숙 교수/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 유한익 교수


  • 이전글 교육멘토-학습장애- 2008.11.19
  • 다음글 신입 유치부 학부모님! 감사합니다!! 2008.11.24